산림서비스도우미 일자리사업(산림복지일자리, 산림휴양서비스매니저, 도시숲정원관리인) 소개

산림에서 찾는 새로운 기회! ‘산림서비스도우미’ 일자리로 삶을 바꿔보세요

숲은 그저 걷고 힐링하는 공간을 넘어,
이제는 우리 삶을 바꾸는 **‘일자리의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오늘 소개할 사업은 바로 산림복지일자리, 그 중에서도 산림서비스도우미입니다.


산림서비스도우미란?

산림서비스도우미는 숲길등산지도사, 숲생태관리원 등 다양한 산림분야 전문가를 고용해
국민에게 숲을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동시에 새로운 일자리 창출까지 이루는 국가사업입니다.

단순한 일자리를 넘어 산림복지와 국민건강 증진에 이바지하는 공공형 일자리라고 할 수 있어요.


어떤 일을 하게 되나요?

주요 직무는 아래와 같습니다.

  • 숲생태관리원: 생태 보전, 환경 관리
  • 숲길등산지도사: 안전한 등산 지도 및 체험 안내
  • 도시녹지관리원: 도시 내 녹지공간 유지 및 조성
  • 학교숲코디네이터: 학교숲 운영 및 교육
  • 수목원코디네이터: 식물 관리 및 해설
  • 산림휴양서비스매니저: 산림휴양시설 운영 지원

지원 자격은?

기본적으로 만 18세 이상이면 신청할 수 있으며,
각 직무별로 요구하는 자격증, 관련 학력 또는 경력이 다르기 때문에 아래 내용을 꼭 확인하세요.

예를 들어:

  • 숲길등산지도사는 산림교육 전문가 과정 수료자
  • 도시녹지관리원은 조경 관련 자격증 또는 1년 이상 경력자
  • 학교숲코디네이터는 해당 분야 자격증 + 2년 이상 실무 경험자

※ 취업취약계층, 부양가족 많은 분, 해당 지역 거주자는 우선 선발 대상입니다.


임금 및 복지 혜택은?

  • 하루 80,240원의 인부 임금 지급
  • 월급 또는 주급 형태로 수령 가능
  • 4대보험(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모두 가입
  • 교육훈련 기간에도 동일한 임금 지급
  • 교통비, 숙박비 등 여비도 별도 지급 (공무원여비규정 기준)

즉, 단기성 아르바이트가 아닌 안정적이고 체계적인 일자리입니다.


어떻게 신청하나요?

신청 방법

  • 산림청 홈페이지 또는 각 도·시·군청 홈페이지를 통해 공고 확인
  • 주소지 관할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신청 가능

처리 절차

  1. 초기 상담 및 서비스 신청
  2. 대상자 통합조사 및 심사
  3. 최종 대상자 선정
  4. 일자리 제공 및 임금 지급
  5. 사후관리 및 추가 연계 지원

실제 참여 사례 – 숲해설가로 제2의 인생을

“무역회사에 다니다가 두 아이 엄마가 된 후 평범한 주부로 지내던 중, ‘숲해설가’라는 새로운 직업을 만났어요.
이제는 아이들을 돌보며 자연 속에서 사람들에게 숲을 이야기해주는 직업을 갖게 되었죠.”

경기도 용인에서 숲해설가로 활동 중인 ‘최인생’ 씨의 이야기입니다.
이처럼 누구나 적성과 여건에 맞는 산림 일자리를 통해 인생의 전환점을 만들 수 있어요.


어디로 문의하면 되나요?

대표번호는 산림청 고객센터 1588-3249이며,
지역별 상세 전화번호는 다음과 같습니다.

  • 서울시: 02-2115-7560
  • 경기도: 031-8030-3562
  • 강원도: 033-249-3130
  • 대전: 042-600-3697
  • 경남: 055-211-4285
  • 그 외 각 지역별 산림과 및 산림경영과 문의 가능

공식 홈페이지
👉 산림청: https://www.forest.go.kr
👉 일모아 시스템: http://www.ilmoa.go.kr


마무리하며

숲을 사랑하고, 사람과 자연을 잇는 일을 하고 싶다면
산림서비스도우미는 분명 좋은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지금이 바로 숲에서 제2의 인생을 시작할 순간입니다.
꼼꼼히 확인하시고, 나에게 맞는 산림 일자리를 꼭 찾아보세요 🌲